간호학 입원환자 변비 중재를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
[간호학] 입원환자 변비 중재를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ppt


목차
1.변비의 정의와 진단
2.변비 관리 현황
3.변비 임상중재에서의 문제점
4.논문 정리
5.중재 프로그램의 임상 적용
6.임상 적용에서의 한계와 해결방안



본문
3. 의사처방약제 이외 환자들이 경험한 변비치료

식품 - 유산균제품(요플레, 요구르트), 다시마(가루, 액, 환),
식이섬유질식품, 알로에, 동규자차, 우유, 기름종류, 기타

관장 - 커피관장

약국 구입약
- 둘코락스, 비코그린, 비코사이드, 메이퀸, 아락실, 뮤타실,
변락, 기타

한방제제 -한의원 및 한약 상가에서 조제된 약제
1) 사정 영역
• 배변과 관련된 불편감 (1차사정)
• 배변 습관의 변화(2차사정)
• 복부 검진 : 복부 팽만과 장음 감소 여부/직장검진/
항문 괄약근 검진(3차사정)

2) 중재 영역
• 예방교육
• 식이 섬유질
• 수분 섭취
• 운동
• 복부마사지
• 용수 관장 및 항문 괄약근력 운동



본문내용
그램의 임상 적용
임상 적용에서의 한계와 해결방안
PAGE:3
변비의 정의
대변이 오랫동안 장관 내에 머물러 수분이 감소해서 단단해지고 배변에 곤란을 동반한 상태이다.
(대한간호학회, 1995)
배변 횟수가 불규칙하고 변이 단단하여 대장에 정체되어 있는 상태를 의미하는 것이다.
(NANDA, 2001)
*
PAGE:4
변비에 대한 로마의 진단 기준 Ш (2006년 개정)
과도한 힘주기가 총 배변의 25% 이상인 경우
딱딱한 변이 총 배변의 25% 이상인 경우
잔변감이 총 배변의 25%이상인 경우
항문 폐쇄감이 총 배변의 25%이상인 경우
수조작이 총 배변의 25% 이상에서 필요한 경우
배변이 일주일에 3회 미만 인 경우
위 정의 중 2가지 이상 있을 때 기능성 변비 라고 정의한다. 이

참고문헌
참고문헌

김영미 (2009) 변비완화 간호중재가 노인요양병원 입원여성노인의 변비와 우울에 미치는 효과.고신대학교 대학원, 국내석사
김동희 (2009) 3차 병원에 내원한 한국인 변비환자의 특성.울 산대 대학원 의학과, 국내석사
최자윤, 장금성, 김현오 (2003) 입원환자의 변비 중재를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 성인간호학회지 제 15권 제 4호 596-606
천지현 외 9인 (2007), 변비클리닉에 내원한 환자의 민간변비 관련제제 및 자가치료실태, 대한소화관운동학회지,Vol.13 No.1
병원간호사회http://www.khna.or.kr
서울송도병원http://www.isongdo.com
한솔병원 http://www.hemoinf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