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과의전쟁 내가 찾던자료 모두 여기서
서양미술 전쟁을 통해 본 서양미술과 역사
[서양미술] 전쟁을 통해 본 서양미술과 역사.hwp


목차
목 차
신화 속 고대 트로이 전쟁

⃞ 전쟁의 발단

1. 페테르 파울 루벤스 (Peter Paul Rubens), 파리스의 심판 (The Judgement of Paris)

2.단테 가브리엘 로제티(Dante Gabriel Rossetti), 트로이의 헬레네 (Helen of Troy)

3. 자크 루이 다비드(Jacques Louis David), 파리스와 헬렌의 사랑 (The Loves of Paris and Helen)

4. 귀도 레니(Guido Reni), 헬레네의 납치 (The Rape of Helene)

⃞ 전쟁

중세를 대표하는 전쟁: 십자군 전쟁

1. 앙브루아즈 뒤부아(Ambroise Dubois), 예루살렘 공격 (LAssaut de Jérusalem)

2. 외젠 들라크루아(Eugene Delacroix), 십자군의 콘스탄티노플 함락 (1204년 4월 14일) (Prise de Constantinople par les Croisés (le 14 avril 1204))

피카소와 현대의 전쟁회화

1. 파블로 피카소 (Pablo Ruiz Picasso), 한국에서의 학살(Massacre en Corée)

2. 파블로 피카소 (Pablo Ruiz Picasso), 게르니카(Guernica)




본문

2.단테 가브리엘 로제티(Dante Gabriel Rossetti), 트로이의 헬레네 (Helen of Troy)
: 1868년/ 패널에 유채/ 37×27cm/ 함부르크 시립 미술관

가브리엘 로제티가 남긴 <트로이의 헬레네>라는 작품에서는 전설적인 헬레네의 미모를 만날 수 있다. 그가 그린 헬레네는 숨이 멎을 만큼 아름답다. 풀어헤친 금발과 매혹적인 붉은 입술, 화려한 액세서리가 아름다움의 극치를 보여준다. 자기도취에 흠뻑 빠진 헬레네는 감각적인 쾌락에 온몸을 맡기고 있다. 화가는 성적 욕망을 불러일으키도록 화면 전체를 눈부신 황금색 색조로 통일했다. 이 초상화에서는 베네치아적인 특성이 물씬 풍겨 나오는데, 헬레네의 화려한 의상과 다채로운 색상, 회화적인 느낌의 풍요로운 붓 터치는 16세기를 화려하게 꽃 피운 베네치아 거장들의 양식과 유사하다

3. 자크 루이 다비드(Jacques Louis David), 파리스와 헬렌의 사랑 (The Loves of Paris and Helen)
: 신고전주의/ 1788/ 캔버스에 유채 / 146×181cm / 루브르 박물관 소장

트로이의 왕자 파리스와 스파르타의 왕비 헬레나의 정사는 호메로스의 시편에 나오는 유명한 이야기다.파리스가 헬레나를 납치함으로써 트로이 전쟁이 촉발되었고 두 사람의
이야기는 화가들에게 좋은 소재가 되었다.다비드의 <파리스와 헬레나>는 두 사람이 처음 연인으로 맺어지는 밤을 묘사하고 있다.파리스는 벌거벗은 몸이지만 잘 때 쓰는 모자를 쓰고 있다.헬레나는 옷을 입고 있지만 몽롱한 분위기를 풍기며 파리스를 유혹한다. 이는 파리스가 잠자고 있는 사이 헬레나가 그의 침실로 들어온 것을 암시하는 것이다.파리스도


본문내용
트로이 전쟁
전쟁의 발단
트로이 전쟁의 발단은 바다의 여신 테티스와 인간 펠레우스의 결혼식부터 시작된다. 이 결혼식에는 여러 신들이 모여 축하를 해주는 가운데, 전쟁과 불화의 여신 에리스만 초대를 받지 못한다. 괘씸한 생각이 든 여신은 결혼식장에 스스로 찾아간다. 그리고 가장 아름다운 여신께 라는 글자가 새겨진 황금사과를 던지고 사라진다.
헤라, 아테나, 아프로디테는 그 사과를 발견하고는 서로 자기가 사과의 주인이라며 싸우기 시작한다. 세 여신들은 결국 제우스에게 판결을 부탁하고 제우스는 고심 끝에 트로이의 왕자 파리스에게 판결을 맡긴다. 아프로디테는 파리스에게 만약 나를 선택해 준다면 너에게 그리스 최고의 미인을 주겠다. 라는 조건을 제시한다. 파리스는 이 조건을 받아들여 아프로디테를 가장 아
 
지식과의전쟁 내가 찾던자료 모두 여기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