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학 두시언해의 문헌적 특징과 국어사 자료로서의 특징
목차 1.서론 2.본론 1)문헌적 특징(이본관계,서지적특징) 2)국어사 자료로서의 두시언해 3.결론 본문 국문학적 의의는 우리 나라 최초의 번역 시집인 점과 한시 및 국문학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되는 점(한시의 모범으로 삼아 연구할 가치를 지닌 점)이며, 국어학적 의의는 초간본과 중간본이 약 150년의 차이가 있어 국어의 변화(음운 및 어휘 변천)를 살피는 자료가 된다는 것이다.두시언해의 원제는 분류두공부시언해(分類杜工部詩諺解)로 분류는 시를 체계적으로 분류했다는 뜻이요 공부는 두보의 벼슬 이름을 딴 것이다. 두시언해란 두보의 시를 우리말로 옮긴 것을 일컫는 말이다. 성종 12년에 초간본이 간행되고 150년 후인 1632년에 중간본이 간행되었다. 체제는 두보의 시 전편인 1647편과 다른 사람의 시 16편을 기행 술회 회고 우설(雨雪) 산악 강하(江河) 문장 서화 음악 송별 경하(慶賀) 등 52부로 분류하였다. 초간본 두시언해는 성종 12년(1481년)에 전25권 17책으로 간행했다. 세종 때의 유윤겸이 왕명을 받아 주해했으며 성종 때의 조위와 의침이 언해하였다. 본문내용 국 당나라 시인 두보(杜甫)의 시 전부(1,647편)를 한글로 번역한 책이다. 원명은 [분류두공부시언해(分類杜工部詩諺解)]이고, 속칭은 [두시언해(杜詩諺解)]이다. 두시언해란 두보의 시를 우리말로 옮긴 것을 일컫는 말이다. 여기서 분류란 시를 체계적으로 분류하여 정리했다는 뜻이며 공부는 두보의 벼슬 이름을 딴 것이다. 원(元)나라 때 편찬된 [찬주분류두시(纂註分類杜詩)]를 원본으로 삼아 두보의 시 1,647편 전부와 다른 사람의 시 16편에 주석을 달고 풀이하여 기행(紀行)술회(述懷)회고(懷古)우설(雨雪)산악(山嶽)강하(江河)문장(文章)서화(書畵)음악식물조수(鳥獸)충어(蟲魚)화초송별(送別)경하(慶賀)잡부(雜賦) 등 52부로 분류한 책으로, 초간본(初刊本)과 중간본(重刊本)이 있 참고문헌 1. 이병주, 한국 문학상의 두시 연구, 이우출판사, 1979 2. 박영섭, 초간본두시언해 어휘자료집, 박이정, 1998 3. 편집부, 두시언해, 계명대학교 출판부, 2000 |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