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레포트신] 꿀 자료
거시경제학 개성공단의 위기에 따른 국가경제의 득과 실
[거시경제학] 개성공단의 위기에 따른 국가경제의 득과 실.pptx


목차
1.개성공단은?
2.서론 및 문제제기
3.개성공단의 사업 현황
4.경제적 관점에서 본 개성공단
5.개성공단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
6.시사점 및 결론


본문
금강산 관광과 함께, 남북 경협의 대표작

2000년 8월 현대아산과 북한의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공업지구 건설에
합의함에 따라 시작

2004년 첫 생산을 시작으로 현재까지 이어져 오고 있음.

남측기업은 비용절감을 통한 경제력을,북한정부에는 외화벌이를 위한 수단

직접적 피해
이미 투자된 매몰비용(7300억 원)

간접적 피해
7300억을 국내에 투자했을 때의 기회비용 (6300억원)

입주 기업들의 투자액 손실
수수료 부담으로 인한 경협보험 가입 미비
-> 순전히 기업의 투자금 손실

전쟁 억지력, 국가 신인도
- 외국인 투자자들의 기피현상 심화




본문내용

01001101001110101001010101
PAGE:2
I
서론 및 문제제기
II
개성공단의 사업 현황
III
경제적 관점에서 본 개성공단
IV
개성공단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
V
시사점 및 결론
Contents
010100111010100101010010101001001010010010001111010101010
01001101001110101001010101
I
VI
개성공단은?
PAGE:3
010100111010100101010010101001001010010010001111010101010
01001101001110101001010101
Ⅰ. 서론 및 연구문제 중요성
공단 폐쇄로 인한 손실
남.북한의 경제적 손실 비교
개성공단의 경제적 효과
개성공단의 경제적 가치
개성공단이 가져오는

참고문헌
통일부 홈페이지(www.unikorea.go.kr)
오일환. 남북 경제협력사업의 현황과 촉진과제(2005)
전명진.정지은. 다지역 투입-산출모형을 이용한 개성공단
사업의 지역경제파급효과 분석
조동환. 남북 경제협력의 성과와 전망(2002)
한정석. 개성공단 사업의 현황과 향후 전망(2009)
최용환. 기성공단 사업의 현황과 향후 전망(2009)
개성공단지구관리위원회(www.kidmac.com)
남북교류협력 시스템(www.tongtong.go.kr)
 
[A+레포트신] 자료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