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철학및교육사 교원평가에 대한 언론사별 입장과 고찰
교육철학및교육사.hwp


목차
1. 시작하는 말

2. 언론사별 교원평가에 관한 입장

3. 교원평가에 대한 언론사별 입장과 그 근거
1) 중앙일보
2) 동아
3) 한겨레
4) Ohmynews

4. 교원평가제에 관한 동일한 자료에 대한 상이(相異)한 입장

5. 교원평가에 관한 주장들이 담고 있는 교육관
1) 보수입장 - 중앙, 동아
2) 진보입장 - 한겨레, Ohmynews

6. 교원평가에 관한 토론 후 합의 내용

7. 결론



본문
국내에는 대표적인 보수 진보 입장의 언론사가 있으며, 각각의 언론사의 기사 내용은 그들의 정치 경제 사회적 이해관계에 따라 하나의 사실에 관해서도 서로 다른 방식으로 나타난다. 언론사별로 보수계열인 중앙과 동아, 진보계열인 한겨레와 Ohmynews의 기사 내용을 통해 교육관련 쟁점들 중 평소에 관심이 있었던 ‘교원평가’에 대해 어떻게 다뤄지고 있는지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할 것이며, 각각의 내용에 대한 견해 차이를 파악해보면서 교원평가에 관해 고찰해보겠다.



본문내용
에 따라 하나의 사실에 관해서도 서로 다른 방식으로 나타난다. 언론사별로 보수계열인 중앙과 동아, 진보계열인 한겨레와 Ohmynews의 기사 내용을 통해 교육관련 쟁점들 중 평소에 관심이 있었던 ‘교원평가’에 대해 어떻게 다뤄지고 있는지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할 것이며, 각각의 내용에 대한 견해 차이를 파악해보면서 교원평가에 관해 고찰해보겠다.
2. 언론사별 교원평가에 관한 입장
중앙
동아
한겨레
Ohmynews
찬성
7
6
2
0
반대
1
0
2
6
중립
2
4
6
4
3. 교원평가에 대한 언론사별 입장과 그 근거
1) 중앙일보
중앙일보는 교원평가에 대해서 찬성하는 입장이 대다수며, 교원평가에 관해 전교조와 관련하여 전교조를 비판하는 기사가 많다. 교원평가에 관한 중앙일보의 의견은 다음과 같다.
2008년

참고문헌
<참고기사>
1. 중앙
[“교사 무능이 국민 불만 핵심 전교조, 교원 평가 수용해야”(2008-10-02)]
[‘교원평가 찬성’ 전교조 대변인 사표 (2008-09-05)]
[전교조, 교원평가 반대 떼쓰기 그만두라 (2008-09-08)]
[서울시민 ‘교원평가고교선택제’ 택했다 (2008-07-31)]
[“학교정보 공개 때 교원평가 일부 포함”(2008-04-28)]
[한국, 교원 평가조차 못하는 까닭은 -전교조에 막혀 법안심의도 못해(2007-06-20)]
[초중고 506곳서 교원평가 시범강행 - 전교조 반발속 내년부터는 전면 실시(2007-02-20)]
[교원평가제 표류 더는 안 된다 (2008-05-15)]
[‘교원 평가제 해야’ 찬성 76% 반대 17% (2008-07-24)]
[미국서도 `교원 평가` 논란 (2007-02-16)]

2. 동아
[교원평가제 이번엔 관철해 人事에 반영하라(2008-11-08)]
[교사들 하나둘씩 떠나가는 전교조(2007-02-20)]
[교원평가제 2010년 3월부터 본격 시행(2008-10-25)]
[‘교원평가’ 찬성51% 반대25% 공교육 정상화 설문 (2008-10-20)]
[“교원평가제 찬성” 전교조 대변인 사표 (2008-09-06)]
[국민 10명중 8명 “교원평가제 찬성”교원단체 반발(2007-09-20)]
[초중고 506개교 올해 교원평가 실시(2007-02-20]
[교원평가 시범학교 선정부터 ‘삐걱’ (2007-02-13)]
[전교조교육부 갈등 증폭 조짐 (2007-01-31) ]
[모처럼 할 일 하는 교육부(2007-01-25)]

3. 한겨레
[교원평가제의 전주곡 (2008-10-26)]
[교원평가 2010년 시행‘인사자료 활용’논란 (2008-11-06)]
[교원평가 문제점, 승진연수 등 연계학교 혼란만 가중(2008-11-06)]
[교원평가 갈등 커지나 (2008-09-08)]
[학부모교

하고 싶은 말
처음부터 끝까지 온전히 제 생각으로 최선을 다해 작성한 자료입니다. A+ 받았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