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가족학 한국 전통놀이의 효과 및 현대화
목차 - 목 차 - 1. 서론 1) 전통놀이의 정의 2) 전통놀이의 종류 2. 본론 1) 봄의 전통놀이 - 쥐불놀이 2) 여름의 전통놀이 - 단오 : 그네뛰기, 씨름 3) 가을의 전통놀이 - 강강술래 4) 겨울의 전통놀이 - 팽이놀이 3. 결론 1) 전통놀이의 효과 - 전통놀이가 유아 자기조절능력과 사회적능력에 미치는 영향 2) 전통놀이의 현대화 본문 2. 본론 1) 봄의 전통놀이 - 쥐불놀이 쥐불놀이는 해마다 정월 대보름(음력 1월 15일) 농촌에서 논밭 두렁의 마른 풀에 불을 놓아 모두 태우는 풍습으로, 논두렁 태우기라고도 한다. 이는 농작물에 피해를 주는 쥐를 잡고 들판의 마른 풀에 붙어 있는 해충의 알을 비롯한 모든 잡충을 태워 없앨 뿐만 아니라 타고 남은 재가 다음 농사에 거름이 되어 곡식의 새싹이 잘 자라게 하기 위한 소망이 담겨 있다. 쥐불놀이는 한자어로 서화희(鼠火戱) 또는 훈서화(燻鼠火)라 하는데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에 의하면 정초 쥐날에 마을에서 콩을 볶으면서 “쥐주둥이 지진다 쥐주둥이 지진다”는 주문을 외우고 횃불을 사른 것에서 유래하였다. 쥐불놀이를 하기위해서는 먼저 빈 깡통 사방에 구멍을 낸다. 그 다음 철사로 빈 깡통 귀를 만들어 끈으로 매단다. 깡통 속에는 오래 탈 수 있는 삭장개비나 솔방울을 넣는다. 삭장개비나 솔방울에 불이 잘 붙도록 불쏘시개(지푸라기, 낙엽)를 넣고 허공에 빙글빙글 돌린다. 망월이야라고 외치면서 밭두렁과 논두렁 마른 잔디에 불을 붙이면 된다. 쥐불놀이는 편을 갈라 많은 면적을 불태우는 마을이 이기는 방식도 있고, 큰 내나 둑이나 다리를 먼저 건너거나 차지하는 마을이 이기는 방식도 있다. 따라서 농악대를 앞세우고 서로 건너려고 하는 과정에서 상대편을 다리 밑으로 밀쳐 내거나 횃불을 던지거나 내리쳐서 밀쳐내기도 한다. 본문내용 ) 가을의 전통놀이 - 강강술래 4) 겨울의 전통놀이 - 팽이놀이 3. 결론 1) 전통놀이의 효과 - 전통놀이가 유아 자기조절능력과 사회적능력에 미치는 영향 2) 전통놀이의 현대화 1. 서론 1) 전통놀이의 정의 전통놀이는 민속사회에서 민중에 의해 전승된 놀이를 가리킨다. 전통놀이는 오랜 세월 동안 민속사회에 전승되어 온 놀이로서 강한 향토성을 띠는 동시에 대부분 민간제의의 요소가 두루 포함되어 있다. 또한 양반층보다는 농민들을 중심으로 놀아서 집단성이 강하며, 낙천적 기상과 풍부한 정서를 담고 있다. 현재 정리된 한국의 전통놀이에는 약 120가지 정도가 있는데, 대부분이 설정월대보름단오한가위 등 4대 명절에 집중되어 있는 세시놀이 종류이다. 세시놀이에는 명절이나 특정한 시기에 하는 놀이로, 정초의 연 참고문헌 - 출 처 참 고 문 헌 - 도청문화관광부 http://www.gojb.net:8080/culture/menu8/?gubun=page1 다음 백과사전 http://enc.daum.net/dic100/viewContents.do?&m=all&articleID=b08m2086a 전통놀이 문화체험학교 http://www.i-i.or.kr/ 한국전통민속놀이 체험학교 http://www.psyschool.com/ 네이버 http://100.naver.com/100.nhn?docid=142001 디지털강릉문화대전 http://gangneung.grandculture.net/gc/contents/contents.jsp?tid=30003332 쥐불놀이 이미지 1 http://photo.naver.com/view/2009020900201691372 쥐불놀이 이미지 2 http://cafe.naver.com/cnuhealth 대한 씨름 협회 http://ssireum.sports.or.kr/ 그네뛰기 이미지 http://customsearch.naver.com/ 대쾌도(大快圖) 이미지 http://www.museum.go.kr/ 문화재청 http://www.cha.go.kr/ 강강술래 이미지 1, 2, 3, 4 http://customsearch.naver.com/ 팽이놀이 이미지 1, 2 http://imagesearch.naver.com/ 팽이 만들기 http://blog.naver.com/wootza?Redirect=Log&logNo=110083697027 『전통놀이 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향상에 미치는 영향』, 2010 이은실 숭실대학교 『전통놀이가 유아 자기조절능력과 사회적능력에 미치는 영향』, 2010 박희순 목포대학교 현대판 강강술래 기사 http://www.hani.co.kr/arti/society/area/467837.html 장성고 관련기사 http://biz.heraldm.com/common/Detail.jsp?newsMLId=20110401000909 |
0 댓글